🐙 GitHub 사용법

새 Repository 만들기와 개발환경 설정

🔐 GitHub 계정 준비

1. GitHub 계정 생성

github.com에서 무료 계정을 생성하세요.

2. Git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당신의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email@example.com"

✨ 새 Repository 만들기

1. GitHub에서 새 Repository 생성

  • GitHub에 로그인 후 우측 상단의 "+" 클릭
  • "New repository" 선택
  • Repository 이름 입력 (예: my-awesome-project)
  • Public 또는 Private 선택
  • "Create repository" 클릭

2. 로컬 프로젝트를 GitHub에 연결

# 새 GitHub Repository 만들기
git init
git add .
git commit -m "Initial commit"
git branch -M main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사용자명/repository명.git
git push -u origin main

📥 기존 Repository 가져오기

개발환경에서 GitHub Repository 클론

기존 프로젝트를 로컬 개발환경으로 가져와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

# GitHub Repository 클론하기
git clone https://github.com/사용자명/repository명.git
cd repository명

💡 개발환경 설정 연계:

  • 개발환경 설정에서 만든 작업 폴더로 이동
  • cd ~/workspace
  • 해당 폴더에서 git clone 실행
  • VS Code나 에디터로 클론한 프로젝트 열기

🔄 기본 Git 워크플로우

매일 사용하는 기본 명령어

# 기본 Git 워크플로우
git add .
git commit -m "feat: 새 기능 추가"
git push origin main

📝 git add

변경사항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

💾 git commit

변경사항을 로컬 저장소에 저장

🚀 git push

로컬 변경사항을 GitHub에 업로드

💡 유용한 팁들

📋 좋은 커밋 메시지 작성법

  • feat: 새 기능 추가 - 새로운 기능
  • fix: 버그 수정 - 버그 수정
  • docs: 문서 수정 - 문서 변경
  • style: 코드 스타일 수정 - 포맷팅, 세미콜론 등

🔍 현재 상태 확인하기

git status

📜 커밋 히스토리 보기

git log --one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