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essional Development

VIBE Coding 원데이 클래스

하루 만에 Replit으로 개인 태스크 매니저부터 팀 협업 도구까지 구현하는 집중 과정

총 8시간
실무용 웹앱 2개
실무 적용 가능

강사 소개

유호현 (Will)

옥소폴리틱스 대표 · 토블 AI 대표

AI 거버넌스와 디지털 변혁 분야의 전문가로, 이론과 실무를 모두 겸비한 강사입니다. 복잡한 기술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하며, 실제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지식을 전달합니다.

주요 경력

현) 옥소폴리틱스 대표 (정치 플랫폼)
현) 토블 AI 대표 (미국 AI 컨설팅 회사)
현) 태재미래전략연구원 디지털 전환과 사회변혁 팀 팀장
현)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겸임교수 (AI & 스타트업)
전) 트위터(X) 근무
전) 에어비앤비 근무
저서 4권: AI 거버넌스, 디지털 변혁 관련
다수 기업 AI 트랜스포메이션 컨설팅

학력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영어영문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
University of Wisconsin Milwaukee 석사
UT Austin 박사 과정 중 트위터 합류

🚀 완성할 프로젝트: 팀 협업 태스크 매니저

📋
Stage 1
개인용
👥
Stage 2
팀 협업

React + Replit DB로 구현하는 칸반 보드 스타일의 실무용 태스크 관리 도구

📅 하루 일정

09:00-09:30
VIBE Coding 소개
09:30-12:00
Stage 1: 개인 태스크 매니저
12:00-13:00
점심시간
13:00-17:30
Stage 2: 팀 협업 기능
17:30-18:00
마무리 & 발표

🌟 VIBE Coding이란 무엇인가?

바이브 코딩은 2025년형 AI-주도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으로, "코드는 AI에게 맡기고, 사람은 느낌(vibe)으로 제품의 방향성과 맥락을 지휘한다"는 철학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이 개념은 2025년 2월 OpenAI의 전 디렉터이자 Tesla AI 책임자였던 안드레이 카파시(Andrej Karpathy)가 X(구 트위터)와 자신의 블로그에서 처음 '바이브 코딩(Vibe Coding)'이란 표현을 사용하며 공식화했습니다. 이후 이 개념은 실리콘밸리의 대기업, 스타트업, 그리고 전 세계 개발 커뮤니티로 빠르게 확산되었습니다.

"제가 '바이브 코딩'이라고 부르는 새로운 코딩 방식이 있어요. 이건 완전히 느낌에 몸을 맡기고, 지수적으로 발전하는 AI를 받아들이고, 코드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잊어버리는 거죠. 이게 가능한 이유는 LLM(예: Cursor Composer와 Sonnet)이 너무 뛰어워졌기 때문이에요. 저는 슈퍼위스퍼로 Composer에게 말만 하니까 키보드도 거의 안 건드려요. '사이드바 패딩을 반으로 줄여줘'같은 사소한 것도 그냥 말하죠. 귀찮아서 직접 찾기 싫거든요. 항상 'Accept All'만 누르고, 변경사항도 더 이상 안 읽어요. 에러 메시지가 뜨면 그냥 주석 없이 복사해서 붙여넣기만 하는데, 보통 그러면 해결돼요. 코드가 제가 이해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 자라나지만, 자세히 읽으려면 시간이 필요해요. 때론 LLM이 버그를 해결 못 할 때도 있어서 그냥 우회하거나 랜덤하게 바꿔달라고 해서 문제가 사라질 때까지 기다리곤 해요. 주말 프로젝트 정도는 크게 문제 없지만, 꽤 재미있는 경험이에요. 프로젝트나 웹앱을 만들고 있지만, 실제로 코딩을 하는 건 아니에요 - 그냥 뭔가 보고, 말하고, 실행하고, 복사-붙여넣기를 하는데, 대부분 잘 작동합니다."

"AI 코딩 도구의 발전으로 프로그래밍의 본질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개발자는 코드 작성자에서 제품과 사용자 경험의 설계자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바이브(vibe)'—직관적 감각과 맥락 이해—가 가장 중요한 경쟁력이 됩니다."
— 안드레이 카파시, 2025년 2월

바이브 코딩 접근법은 특히 비엔지니어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는데, 기술적 장벽을 낮추고 창의성과 비전을 중심으로 디지털 제품을 만들 수 있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은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춰 설계되었으며, AI 도구를 활용해 비엔지니어들도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바이브 코딩을 위한 지식 체계

🚀 컴퓨터와 인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여정

AI 시대 프로그래밍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컴퓨터와 인간 사이의 거리가 어떻게 가까워져 왔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70년간의 프로그래밍 언어 진화를 통해 우리는 복잡한 0과 1에서 자연어까지의 여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컴퓨터와 인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여정

70년간 프로그래밍 언어의 진화로 복잡한 0과 1에서 자연어까지,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벽이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1950s

기계어 시대

0과 1로 직접 컴퓨터와 대화

인간-컴퓨터 거리: 매우 멀음
추상화 레이어
👤 사람
01010101 기계어
💻 컴퓨터
Binary Code
01001000 01100101 01101100 01101100 01101111
프로그래밍 난이도17% 쉬워짐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는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필요한 지식의 범위와 깊이도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서로 다른 수준의 엔지니어링 배경에 따라 요구되는 지식의 차이를 비교한 것입니다.

2. CS를 전공한 풀스택 엔지니어가 알아야 했던 것들

  • 컴퓨터 과학 기초: 자료구조, 알고리즘, 시간/공간 복잡도, 컴퓨터 아키텍처
  • 프로그래밍 언어: 복수의 프로그래밍 언어(Java, C++, Python 등) 문법과 패러다임 이해
  • 운영체제: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스레드, 동시성 이해
  • 네트워크: OSI 모델, TCP/IP, HTTP/HTTPS, API 디자인
  • 데이터베이스: 관계형/비관계형 DB, SQL, 정규화, 트랜잭션
  • 백엔드 개발: 서버 아키텍처, RESTful API, 마이크로서비스, 확장성
  • 프론트엔드 개발: HTML, CSS, JavaScript, 프레임워크(React, Angular, Vue)
  • 소프트웨어 설계: OOP, 디자인 패턴, 아키텍처 패턴
  • DevOps: 배포 파이프라인, 컨테이너화, 클라우드 서비스
  • 보안: 인증, 권한 부여, 암호화, 보안 취약점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Agile, Scrum, 테스트 주도 개발

3. 코딩 부트캠프 출신 엔지니어가 웹앱을 만들기 위해 알아야 했던 것들

  • 웹 개발 기초: HTML, CSS, JavaScript 핵심 문법과 적용
  •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 React, Vue, Angular 중 하나 이상 숙달
  • 상태 관리: Redux, Context API, Vuex 등의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 반응형 디자인: 모바일 대응, 미디어 쿼리, CSS 프레임워크(Bootstrap, Tailwind)
  • 백엔드 언어: Node.js, Python, Ruby 등 하나 이상의 백엔드 언어
  • 웹 프레임워크: Express, Django, Ruby on Rails 등
  • 데이터베이스 기초: SQL, MongoDB 등 데이터 저장과 쿼리
  • API 개발: RESTful API 설계 및 구현
  • 인증/보안: JWT, OAuth, 기본적인 보안 취약점 대응
  • 버전 관리: Git, GitHub 활용
  • 배포: Heroku, Netlify, AWS 등 기본적인 배포 방법
  • 기본적인 테스트: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기초

4. 바이브 코딩을 하기 위해서 알아야 하는 것들

  • 디지털 기본 소양: 웹, 앱, 클라우드의 기본 개념 이해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AI에게 효과적으로 지시하는 방법
  • AI 도구 활용: GitHub Copilot, Claude 등 AI 도구 기본 사용법
  • HTML/CSS/JS 기초 인식: 코드 언어의 기본적인 역할 이해
  • 개발 환경 기초: VSCode 같은 코드 에디터 기본 사용법
  • 웹 서비스 개념: 클라이언트/서버, API,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개념
  • 문제 분해 능력: 큰 문제를 작은 단계로 나누는 사고방식
  • 직관적 테스트: "이게 맞는 것 같은가?"라는 직관적 판단
  • 자연어 요구사항 작성: 원하는 기능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능력
  • 맥락 인식: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목적과 맥락 유지 능력
  • 피드백 활용: AI 생성 결과를 바탕으로 반복 개선하는 접근법

상세 지식/기술 요구사항 비교

아래 표는 세부 영역별로 각 개발자 유형에게 필요한 지식 수준을 비교합니다.

필수
기본 수준 필요
불필요
지식/기술 영역CS 전공부트캠프바이브 코딩
새로운 역량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AI 도구 활용
의도 기반 설명
문제 명확화 능력
웹 개발
웹 기술 기본 개념
HTML 기본 구조
CSS 기본 속성
JavaScript 기본 문법
React/Next.js 기초
HTML/CSS 심화
JavaScript/TypeScript
개발 도구 & 환경
버전 관리(Git)
GitHub/GitLab 활용
개발 환경 설정
CI/CD 파이프라인
컨테이너화(Docker)
백엔드 개발
서버리스 아키텍처
Firebase 기본 사용법
백엔드 API 기본 개념
서버 아키텍처
API 설계
데이터베이스 설계
인증/권한부여
클라우드 & 배포
클라우드 서비스 기본 개념
Firebase 배포
Netlify/Vercel 배포
도메인/DNS 설정
AWS/GCP/Azure 기본
컴퓨터 과학 기초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계산 복잡도 이론
컴퓨터 아키텍처
운영체제 원리
프로그래밍 언어
다중 언어 숙달
언어 패러다임 이해
컴파일러/인터프리터 원리
문법 규칙 숙지
데이터 관리
SQL 심화
NoSQL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모델링
쿼리 최적화
소프트웨어 설계
객체지향 설계
디자인 패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패턴
테스트 & 품질관리
단위/통합 테스트
TDD
코드 품질 관리
디버깅 기술
보안
웹 보안(OWASP)
인증/암호화
보안 취약점 대응

바이브 코딩은 프로그래밍의 기술적 복잡성 대신, 사용자의 의도와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는 코딩을 보다 접근하기 쉽게 만들어, 비엔지니어들도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게 합니다. 무엇보다 바이브 코딩에서는 모든 세부 지식을 미리 알지 않아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필요한 개념을 AI 도구로부터 배우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바이브 코딩은 전통적인 개발 방식에 비해 필요한 기술적 지식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였습니다. CS 전공자와 부트캠프 출신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바이브 코딩은 지식 요구사항을 최소화했습니다. 대신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AI 도구 활용, 명확한 의도 표현 같은 새로운 역량이 중요해졌습니다. 이러한 지식 요구사항의 변화는 코딩의 진입 장벽을 크게 낮추어 더 많은 사람들이 소프트웨어 개발에 참여할 수 있게 합니다.

🔌 API와 최신 프로토콜 이해하기

1API란 무엇인가?

API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가 대화하는 방법

🏪

카페 주문을 생각해보세요

카페에서 커피를 주문할 때, 손님(앱)은 직접 커피머신을 만질 수 없습니다. 대신 직원(API)에게 "아메리카노 하나 주세요"라고 말하면, 직원이 커피머신(서버)에서 커피를 만들어 가져다 줍니다.

📱
클라이언트 (앱)
요청하는 쪽
🔄
API (인터페이스)
중간 다리 역할
🖥️
서버 (데이터)
실제 처리하는 쪽

2MCP (Model Context Protocol)

🤖

AI와 도구를 연결하는 새로운 방식

MCP는 Claude 같은 AI 모델이 외부 도구나 데이터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마치 AI가 다양한 앱과 서비스를 직접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만능 어댑터' 같은 역할을 합니다.

✅ 할 수 있는 것
  • • 파일 시스템 접근
  • • 데이터베이스 조회
  • • 외부 API 호출
  • • 코드 실행
🛡️ 보안 특징
  • • 권한 기반 접근
  • • 샌드박스 환경
  • • 감사 로그
  • • 안전한 격리

3Google의 Agent2A Protocol

🔗

AI 에이전트들이 협업하는 방법

Agent2A(Agent-to-Agent)는 구글이 개발한 프로토콜로, 여러 AI 에이전트가 서로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게 해줍니다. 마치 팀 프로젝트에서 각자 전문 분야를 담당하는 팀원들이 협력하는 것과 같습니다.

🎯 핵심 기능
  • • 작업 분담 및 조율
  • • 실시간 상태 동기화
  • • 결과물 통합
  • • 오류 처리 및 복구
💡 활용 예시
  • • 문서 번역 + 검토
  • • 코드 작성 + 테스트
  • • 데이터 분석 + 시각화
  • • 콘텐츠 생성 + 편집

🔄 Agent2A 워크플로우 예시

Agent A
데이터 수집
Agent B
데이터 분석
Agent C
시각화 생성
Agent D
보고서 작성

🚀오늘 프로젝트에서 이런 개념들이 어떻게 적용될까요?

Stage 1: API 기초
  • • Replit DB API 사용
  • • React 컴포넌트 간 데이터 전달
  • • CRUD 작업 구현
Stage 2: 협업 프로토콜
  • • 실시간 동기화 구현
  • • 사용자 간 데이터 공유
  • • 충돌 처리 메커니즘

📋 간단한 팀 할일 및 프로젝트 관리자

제품 요구사항 문서 (PRD)

🎯 개요

대시보드 중심의 팀 태스크 관리 웹앱. 개인과 팀의 생산성을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데 중점.

대상 사용자

  • 소규모 회사 팀 (5-20명)
  • 내부 사용 전용
  • 상업적 목적 없음

🚀 핵심 기능

1. 태스크 관리

생성/수정/삭제, 상태 관리, 드래그 앤 드롭

2. 분석 대시보드 ⭐

개인/팀 생산성 차트, 인사이트

3. 팀 협업

초대 링크, 태스크 할당, 권한 관리

⏰ MVP 범위 (1일 개발)

🌅 오전 (Stage 1)

  • Google OAuth 통합
  • 개인 태스크 CRUD
  • 개인 대시보드 및 차트
  • 칸반 보드

🌆 오후 (Stage 2)

  • 초대 링크 시스템
  • 팀 대시보드
  • 태스크 할당 기능
  • 팀원별 필터링

👧 실제 사례: 8살 제은이의 AI 동화책 만들기

"20년 코딩 스킬이 초딩 스킬이 되었다" - 초등학교 2학년 딸이 2시간 만에 웹사이트를 만들고, 1주일 후에는 자신만의 동화책 라이브러리를 완성했습니다.

💬 대화의 시작

"아빠, 나도 바이브 코딩 가르쳐 줘"

"응? 네가 바이브 코딩을 어떻게 알아?"

"아빠가 이모들 가르쳐주는거 봤어. 그리고 아빠가 여행가서 동화책 만들어 줬었잖아. 나도 만들어보고 싶어."

"넌 컴퓨터도 없고 타이핑도 못하잖아. 나중에 크면 가르쳐 줄게."

"그래도 가르쳐 줘~!! 아빠 컴퓨터로 하면 되잖아."

🌐 완성된 동화책 사이트

charlottes-storybook.replit.app/
📚 Charlotte's Story Library

제은이가 만든 동화책 모음

🦄 유니콘 모험🏰 공주 이야기🌟 마법의 숲
🔗 실제 사이트 구경하기
📱
도구
  • • 아이패드 + Replit 앱
  • • 음성 입력 모드
  • • Replit Agent
  • • Imagen3 API
⏱️
소요 시간
  • • 첫 웹사이트: 2시간
  • • 동화책 라이브러리: 1주일
  • • 이미지까지 자동 생성
  • • 모든 스토리는 본인 창작
🎉
결과
  • • 완전히 동작하는 웹사이트
  • • 자동 이미지 생성 시스템
  • • 창의적인 스토리 창작
  • • 프로그래밍에 대한 자신감
💡

가장 큰 깨달음

"코딩은 초딩 스킬이 되었습니다"

타이핑도 못하는 8살 아이가 음성 인식과 AI의 도움으로 2시간 만에 웹사이트를 만들고, 1주일 만에 완전한 동화책 라이브러리를 구축했습니다.

🎯 이제는 무엇을 만들지의 시대입니다

(초딩도 글자는 쓸 줄 압니다. 글자로 무엇을 쓸지가 가치를 만듭니다.)

Stage 1 - 오전 세션 (09:30 - 12:00)

개인 태스크 매니저 만들기

React와 Replit Database를 활용해 개인용 할일 관리 앱을 개발합니다

🎯 학습 목표

  • React hooks를 활용한 상태 관리
  • Replit Database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 Google OAuth 인증 구현
  • 칸반 보드 형태의 드래그 앤 드롭 UI

💡 주요 기능

  • 할일 생성/수정/삭제
  • 상태별 보기 (Todo, In Progress, Done)
  • 오늘 할일 필터 보기
  • 반응형 모바일 UI

🌐 클라이언트 ↔ 서버 통신 구조

웹앱이 어떻게 정보를 주고받는지 대화 형태로 이해해보세요

실시간 데이터 흐름 🟢 실행중
💻
클라이언트 (브라우저)

사용자가 보는 화면

역할

•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 사용자 입력 받기
• 서버에 요청 보내기

지금 하는 일

브라우저에 주소 입력

🌐
인터넷

데이터가 오가는 길

현재 상황

처음 웹사이트에 들어갈 때

요청
HTTPS
웹페이지 파일들
응답
🖥️
서버 (Replit)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퓨터

역할

• 데이터베이스 관리
• 비즈니스 로직 처리
• API 응답 생성

지금 하는 일

HTML/CSS/JS 파일 전송

📊 실시간 데이터 흐름 현황
0
활성 요청
0
활성 응답
📄
현재 작업
웹페이지 파일들
🟢
시스템 상태
실행 중
📡 실시간 네트워크 로그:
데이터 패킷 대기 중...
💻 실제 코드로 보기
클라이언트 (React)
// 컴포넌트 렌더링
function App() {
  return <TaskManager />;
}
서버 (Node.js/Express)
// 정적 파일 서빙
app.use(express.static('dist'));

app.get('*', (req, res) => {
  res.sendFile('index.html');
});
🔄
요청-응답 패턴

클라이언트가 질문하면 서버가 답해주는 구조

📡
API 통신

정해진 규칙(REST API)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아요

실시간 반영

변경사항이 바로바로 화면에 반영됩니다

🏗️ 웹앱 기술 스택 - 카페로 비유하기

복잡해 보이는 기술들을 친숙한 카페 운영에 비유해서 쉽게 이해해보세요! 각 층을 클릭해서 자세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술 스택 구조: 클라이언트 vs 서버

💻 프론트엔드 스택 (클라이언트)

사용자 브라우저에서 실행

🌐 프론트엔드

React + HTML...

👤 사용자

웹사이트를 사용하는 사람...

🏢 백엔드 스택 (서버)

Replit에서 24시간 실행

💾 데이터베이스

Replit KV Store...

🔐 인증서버

Google OAuth, JWT...

⚙️ 백엔드

Node.js, Express, 비즈니스...

🌐 웹서버

정적 파일 서빙,...

클라이언트
HTTP/HTTPS
서버

인터넷을 통해 요청과 응답이 오갑니다

👈 왼쪽 스택을 클릭해보세요!

🤔

궁금한 기술 스택을 클릭해보세요!

각 층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카페 운영에 비유해서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핵심 포인트

🧱
레고 블록처럼

각 기술이 블록처럼 쌓여서 완전한 웹앱을 만듭니다

🔄
서로 소통해요

각 층이 정보를 주고받으며 협력해서 동작합니다

AI가 다 만들어줘요

복잡해 보이지만 Replit Agent가 모든 걸 자동으로 설정해줍니다

🤖 Replit Agent 프롬프트

React와 Replit을 사용해서 분석 대시보드가 있는 개인 태스크 관리 웹앱을 만들어주세요:

핵심 기능:
1. Google OAuth 로그인 (필수)
2. 태스크 관리:
   - 태스크 생성/수정/삭제
   - 태스크 상태: 할 일, 진행 중, 완료됨
   - 마감일 설정
   - 태스크 설명/메모
   - 드래그 앤 드롭 칸반 보드

3. 개인 대시보드 (핵심 기능):
   - 태스크 완료율 (이번 주 vs 지난 주)
   - 일별 태스크 완료 차트 (막대 그래프로 매일 완료한 태스크 수 표시)
   - 태스크 상태 분포 (파이 차트: 할 일 vs 진행 중 vs 완료됨)
   - 요일별 생산성 (어느 요일에 가장 생산적인지)
   - 각 상태별 평균 소요 시간
   - 연속 작업일 수 (태스크를 완료한 연속 일수)
   - 오늘의 집중 사항 (오늘 마감인 태스크)

기술 요구사항:
- React hooks 사용
- Replit Database (Key-Value 저장소) 사용
- Recharts로 데이터 시각화
- 분석을 위한 태스크 히스토리 추적 가능한 데이터 구조
- Tailwind CSS로 깔끔하고 미니멀한 UI
- 모바일 반응형

데이터 구조 (KV Store):
// 사용자 데이터
key: "user:{userId}"
value: {
  id: "구글에서_받은_user_id",
  email: "user@example.com",
  name: "사용자 이름",
  avatarUrl: "https://...",
  role: "member", // 나중에 사용
  teamId: null,    // 나중에 사용
  createdAt: "2025-01-20T10:00:00Z"
}

// 태스크 데이터 (히스토리 추적 포함)
key: "task:{taskId}"
value: {
  id: "task_uuid",
  title: "태스크 제목",
  description: "태스크 설명",
  status: "todo",
  assignedTo: "user_id",
  createdBy: "user_id",
  dueDate: "2025-01-21",
  createdAt: "2025-01-20T10:00:00Z",
  updatedAt: "2025-01-20T10:00:00Z",
  completedAt: null, // 완료 시점 타임스탬프
  statusHistory: [
    { status: "todo", timestamp: "2025-01-20T10:00:00Z" },
    { status: "in_progress", timestamp: "2025-01-20T14:00:00Z" }
  ]
}

// 빠른 대시보드 조회를 위한 일별 통계
key: "daily_stats:{userId}:{date}" // 예: "daily_stats:user123:2025-01-20"
value: {
  tasksCreated: 5,
  tasksCompleted: 3,
  tasksInProgress: 2
}

// 사용자의 태스크 목록
key: "user_tasks:{userId}"
value: ["task_id_1", "task_id_2", "task_id_3"]

뷰 구성:
- 대시보드 (차트와 인사이트가 있는 기본 뷰)
- 칸반 보드
- 태스크 목록
- 캘린더 뷰 (마감일별 태스크)

📋 개발 단계

1

Replit 프로젝트 생성

React 템플릿으로 새 프로젝트 생성하고 Replit Agent에 위 프롬프트 입력

2

Google OAuth 설정

구글 로그인 기능 구현 및 사용자 정보 저장

3

기본 CRUD 기능

할일 생성, 읽기, 수정, 삭제 기능 구현

4

칸반 보드 UI

드래그 앤 드롭이 가능한 3단계 칸반 보드 구현

5

뷰 필터링

오늘 할일, 전체 할일 등 다양한 보기 옵션 추가

🎉 예상 결과물

기능적 완성도

  • 완전히 작동하는 개인 할일 관리 앱
  •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로그아웃
  •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 모바일에서도 완벽하게 작동

학습 성과

  • React hooks 패턴 이해
  • NoSQL 데이터베이스 설계
  • OAuth 인증 플로우 경험
  • 드래그 앤 드롭 UI 구현

🎨 나만의 스타일로 꾸미기

기본 할일 관리자가 완성되면 이런 멋진 디자인 변형들을 시도해보세요! 각 프롬프트를 복사해서 Replit Agent에 붙여넣으면 바로 적용됩니다.

🤍 미니멀 흰색 테마

깔끔하고 심플한 흰색 기반 디자인

🤖 Replit Agent 프롬프트
현재 앱을 미니멀한 흰색 테마로 변경해주세요:

🎨 디자인 요구사항:
- 주 색상: 순백색 (#FFFFFF)과 연한 회색 (#F8F9FA)
- 강조 색상: 차분한 회색 (#6B7280)
- 그림자: 아주 연한 그림자 사용
- 테두리: 1px 연한 회색 라인
- 버튼: 미니멀한 outline 스타일
- 아이콘: 선형(outline) 아이콘 사용
- 타이포그래피: 얇은 폰트 weight (300-400)

🎯 참고 스타일:
- Apple의 Human Interface Guidelines 스타일
- Google Material Design의 Light 테마
- 불필요한 색상이나 그라데이션 제거
- 여백을 넉넉히 사용해서 숨쉴 수 있는 레이아웃

✨ 특별 요청:
- 할일 상태별로 아주 미묘한 색상 차이만 사용
- hover 효과는 투명도 변화로만
- 전체적으로 "고급스럽고 절제된" 느낌으로
🎨 디자인 미리보기
할일 관리자
샘플 태스크 1
샘플 태스크 2
샘플 태스크 3
Clean • Minimal • Professional

✨ 글래스모피즘 테마

투명하고 몽환적인 유리 질감 디자인

🤖 Replit Agent 프롬프트
현재 앱을 글래스모피즘(Glassmorphism) 스타일로 변경해주세요:

🎨 디자인 요구사항:
- 배경: 그라데이션 배경 (예: 보라-파랑-핑크)
- 카드들: 반투명 유리 효과 (backdrop-blur-lg)
- 투명도: 배경색에 opacity 10-20% 사용
- 테두리: 1px 흰색 반투명 테두리 (border-white/20)
- 그림자: 부드럽고 확산된 그림자
- 버튼: 유리질감 버튼 (hover시 더 진해짐)

💫 CSS 효과:
- backdrop-filter: blur(20px) 적용
- border: 1px solid rgba(255,255,255,0.2)
- background: rgba(255,255,255,0.15)
- box-shadow: 0 8px 32px rgba(0,0,0,0.1)

🌈 색상 팔레트:
- 배경: linear-gradient(135deg, #667eea 0%, #764ba2 100%)
- 카드: 흰색 15% 투명도
- 텍스트: 진한 색상으로 가독성 확보
- 강조: 네온 색상 (cyan, 보라, 핑크)

✨ 특별 효과:
- 카드에 마우스 호버시 더 밝아지는 효과
- 할일 완료시 반짝이는 애니메이션 추가
🎨 디자인 미리보기
할일 관리자
샘플 태스크 1
샘플 태스크 2
샘플 태스크 3
Translucent • Modern • Dreamy

🌙 다크 네온 테마

어두운 배경에 네온 컬러가 빛나는 사이버펑크 스타일

🤖 Replit Agent 프롬프트
현재 앱을 다크 네온 테마로 변경해주세요:

🎨 디자인 요구사항:
- 배경: 진한 검정색 (#0F0F0F) 또는 짙은 회색 (#1A1A1A)
- 카드: 어두운 회색 (#2A2A2A) 배경
- 텍스트: 밝은 흰색 (#FFFFFF)
- 강조 색상: 네온 사이언(#00FFFF), 네온 핑크(#FF0080), 네온 그린(#00FF41)

💡 네온 효과:
- 버튼과 중요한 요소에 glow 효과 추가
- box-shadow: 0 0 20px rgba(0, 255, 255, 0.5)
- 할일 상태별로 다른 네온 색상:
  • Todo: 네온 블루 (#0099FF)
  • In Progress: 네온 오렌지 (#FF6600)
  • Completed: 네온 그린 (#00FF41)

⚡ 사이버펑크 요소:
- 테두리에 미묘한 네온 글로우
- 호버시 네온 색상이 더 강하게
- 로딩 애니메이션도 네온 색상으로
- 폰트: 모던하고 테크한 느낌 (예: Orbitron, Space Mono)

🎯 참고 스타일:
- 블레이드 러너 2049 UI
- 사이버펑크 2077 인터페이스
- VSCode Dark+ 테마의 색상 활용
🎨 디자인 미리보기
할일 관리자
샘플 태스크 1
샘플 태스크 2
샘플 태스크 3
Cyberpunk • Neon • Futuristic

🌿 자연 친화적 테마

따뜻하고 편안한 자연 색상의 힐링 디자인

🤖 Replit Agent 프롬프트
현재 앱을 자연 친화적인 테마로 변경해주세요:

🌱 디자인 요구사항:
- 주 색상: 연한 녹색 계열 (#F0F9F0, #E6F3E6)
- 보조 색상: 따뜻한 베이지와 브라운 계열
- 강조 색상: 짙은 숲 녹색 (#2D5A27), 황토색 (#D4A574)
- 배경: 크림색이나 연한 베이지 (#FAF9F6)

🍃 자연 요소:
- 버튼: 둥글고 부드러운 모서리 (rounded-2xl)
- 그림자: 따뜻하고 부드러운 그림자
- 아이콘: 잎사귀, 나무, 흙 등 자연 모티프 활용
- 할일 완료시: 작은 🌱 이모지나 애니메이션

🎨 색상 팔레트:
- 배경: 연한 크림색 (#FFFEF7)
- 카드: 연한 민트 (#F8FCF8)
- 할일 상태:
  • Todo: 연한 노란색 (#FFF8E1) - 씨앗
  • In Progress: 연한 주황색 (#FFF3E0) - 새싹
  • Completed: 연한 녹색 (#E8F5E8) - 성장한 식물

🌳 특별 효과:
- 할일 완료시 잎사귀가 떨어지는 애니메이션
- 버튼 hover시 살짝 자라나는 효과 (scale-105)
- 전체적으로 손으로 그린 듯한 organic한 느낌
🎨 디자인 미리보기
할일 관리자
샘플 태스크 1
샘플 태스크 2
샘플 태스크 3
🌱
Natural • Warm • Comfortable

🌈 레트로 80년대 테마

화려한 그라데이션과 네온사인 느낌의 향수 디자인

🤖 Replit Agent 프롬프트
현재 앱을 80년대 레트로 스타일로 변경해주세요:

🎨 디자인 요구사항:
- 배경: 그라데이션 (보라→핑크→노랑)
- 주 색상: 네온 마젠타 (#FF1493), 네온 시안 (#00FFFF), 전기 블루 (#0080FF)
- 폰트: 80년대 스타일 폰트 (굵고 각진 형태)
- 테두리: 두껍고 대비가 강한 테두리

⚡ 80년대 효과:
- 텍스트에 텍스트 그림자로 3D 효과
- text-shadow: 2px 2px 0px #FF1493, 4px 4px 0px #00FFFF
- 버튼: 입체적인 3D 버튼 스타일
- 호버시 "튀어나오는" 효과

🌈 그라데이션 활용:
- 카드 배경: linear-gradient(45deg, #FF1493, #00FFFF)
- 버튼: linear-gradient(135deg, #FF6B6B, #4ECDC4, #45B7D1)
- 배경: 애니메이션되는 그라데이션

🎵 재미있는 요소:
- 할일 완료시: 80년대 스타일 "AWESOME!" 메시지
- 로딩 애니메이션: 회전하는 카세트 테이프 아이콘
- 파티클 효과: 작은 기하학적 도형들이 떠다니는 효과
- 음성 효과: 완료시 전자음 효과음 추가 (선택사항)

✨ 참고 스타일:
- 마이애미 바이스 색상 팔레트
- 80년대 아케이드 게임 UI
- VHS 테이프 재킷 디자인
- 네온사인 글로우 효과
🎨 디자인 미리보기
할일 관리자
샘플 태스크 1
샘플 태스크 2
샘플 태스크 3
Retro • Vibrant • Fun

🌊 모던 그라데이션 테마

세련된 그라데이션과 부드러운 곡선의 모던 디자인

🤖 Replit Agent 프롬프트
현재 앱을 모던 그라데이션 테마로 변경해주세요:

🎨 디자인 요구사항:
- 배경: 부드러운 웨이브 그라데이션 (#f093fb → #f5576c → #4facfe)
- 카드: 각각 다른 그라데이션 적용
- 버튼: 그라데이션 배경에 호버시 밝아지는 효과
- 테두리: 그라데이션 테두리 (border-image 활용)
- 그림자: 색상이 있는 그림자 (colored drop-shadow)

🌈 그라데이션 컬렉션:
- 주요 그라데이션: linear-gradient(135deg, #667eea 0%, #764ba2 100%)
- 카드 그라데이션: 
  • Todo: linear-gradient(45deg, #ff9a9e 0%, #fecfef 100%)
  • In Progress: linear-gradient(45deg, #ffecd2 0%, #fcb69f 100%)
  • Completed: linear-gradient(45deg, #a8edea 0%, #fed6e3 100%)
- 버튼: linear-gradient(45deg, #fa709a 0%, #fee140 100%)

✨ 모던 효과:
- 카드에 살짝 기울어진 효과 (transform: rotate(1deg))
- 호버시 y축으로 살짝 올라가는 효과 (translateY(-2px))
- 부드러운 애니메이션 transition (all 0.3s ease)
- 그림자도 그라데이션 색상 활용
- 둥근 모서리 (border-radius: 20px)

🎯 참고 스타일:
- Instagram 새 로고 그라데이션
- iOS 15 위젯 디자인
- Spotify 플레이리스트 커버 스타일
🎨 디자인 미리보기
할일 관리자
샘플 태스크 1
샘플 태스크 2
샘플 태스크 3
Modern • Gradient • Smooth

✏️ 손그림 스케치 테마

손으로 그린 듯한 따뜻하고 아날로그적인 디자인

🤖 Replit Agent 프롬프트
현재 앱을 손그림 스케치 스타일로 변경해주세요:

✏️ 디자인 요구사항:
- 배경: 종이 질감 (#fefcf3 with paper texture)
- 선: 손으로 그린 듯한 불완전한 선 (wavy, rough)
- 색상: 수채화 느낌의 부드러운 색상
- 폰트: 손글씨 느낌 (Comic Sans MS 또는 Caveat)
- 테두리: 지그재그하거나 물결무늬

🎨 수채화 색상:
- 배경: 연한 크림색에 종이 질감
- 할일 카드: 
  • Todo: 연한 노란색 수채화 (#fff3cd)
  • In Progress: 연한 오렌지 수채화 (#ffe0b3) 
  • Completed: 연한 녹색 수채화 (#d1edcc)
- 강조: 진한 연필색 (#2d3748)

📝 손그림 효과:
- CSS로 불규칙한 테두리 만들기:
  border-radius: 255px 15px 225px 15px/15px 225px 15px 255px
- 박스 그림자도 살짝 기울어지게
- 버튼에 연필 스트로크 효과
- 아이콘을 손그림 스타일로 (🎨, ✏️, 📝 등 활용)

🖊️ 특별 요청:
- 완료된 할일에 연필로 줄 그은 효과 (text-decoration-line: line-through)
- 호버시 연필이 그어지는 애니메이션
- 페이지 모서리에 찢어진 종이 효과
- 가끔 잉크 번짐 효과 (작은 점들)
🎨 디자인 미리보기
할일 관리자
샘플 태스크 1
샘플 태스크 2
샘플 태스크 3
✏️
Hand-drawn • Sketchy • Analog

🔘 뉴모피즘 테마

부드러운 입체감과 그림자의 미래적 UI 디자인

🤖 Replit Agent 프롬프트
현재 앱을 뉴모피즘(Neumorphism) 스타일로 변경해주세요:

🔘 디자인 요구사항:
- 배경: 연한 회색 단색 (#e0e0e0)
- 카드: 배경과 같은 색상에 입체적 그림자
- 버튼: 누르면 들어가는 효과 (inset shadow)
- 모든 요소: 부드럽고 둥근 모서리 (border-radius: 20px)
- 색상: 모노톤 회색 팔레트

💫 뉴모피즘 그림자:
- 외부 그림자 (밝은 쪽): box-shadow: 20px 20px 60px #bebebe
- 내부 그림자 (어두운 쪽): box-shadow: -20px -20px 60px #ffffff
- 조합: box-shadow: 20px 20px 60px #bebebe, -20px -20px 60px #ffffff
- 활성 상태: inset 그림자로 눌린 효과

🎨 색상 시스템:
- 기본 배경: #e0e0e0
- 카드 배경: #e0e0e0 (배경과 동일)
- 텍스트: #4a5568 (부드러운 회색)
- 강조: #3182ce (파란색, 아주 적게 사용)

⚡ 인터랙션:
- 호버시: 그림자가 더 깊어지는 효과
- 클릭시: inset 그림자로 눌린 듯한 효과
- 부드러운 transition (all 0.2s ease)
- 할일 완료시: 살짝 들어가는 애니메이션

🎯 참고 스타일:
- Apple의 Big Sur 디자인 언어
- Material Design의 소프트 버전
- 스키유어피즘의 현대적 해석
🎨 디자인 미리보기
할일 관리자
샘플 태스크 1
샘플 태스크 2
샘플 태스크 3
Soft • 3D • Minimal

📰 빈티지 신문 테마

클래식한 신문과 타이포그래피의 레트로 디자인

🤖 Replit Agent 프롬프트
현재 앱을 빈티지 신문 스타일로 변경해주세요:

📰 디자인 요구사항:
- 배경: 오래된 종이 색상 (#faf7f0)
- 폰트: 신문체 (Times New Roman, Georgia)
- 레이아웃: 신문 컬럼 스타일
- 색상: 검은 잉크와 세피아 톤
- 장식: 빈티지 오너먼트와 구분선

🖨️ 타이포그래피:
- 헤딩: 굵은 신문 헤드라인 스타일 (bold, uppercase)
- 본문: 신문 본문체 (serif, line-height 1.6)
- 날짜: 빈티지 스타일 날짜 표시
- 장식: 고딕 스타일 이니셜 캡

📜 빈티지 요소:
- 테두리: 오래된 신문 프레임
- 배경: 종이 질감과 세월의 흔적
- 색상: 세피아 (#8b4513), 먹색 (#2d3748)
- 할일 상태:
  • Todo: "미완료 기사" 스타일
  • In Progress: "속보" 배지 
  • Completed: "발행 완료" 도장

🎨 신문 디자인:
- 컬럼 레이아웃으로 할일들 정렬
- 각 할일을 "기사" 형태로 표시
- 중요도에 따라 헤드라인 크기 조절
- 완료일을 "발행일"로 표시

✨ 특별 효과:
- 종이가 살짝 구겨진 효과
- 잉크 번짐과 인쇄 불량 효과
- 호버시 종이가 펼쳐지는 애니메이션
- 빈티지 스타일 체크박스 (✓ 마크)

🕰️ 참고 스타일:
- 1920년대 신문 디자인
- The New York Times 클래식 레이아웃
- 빈티지 타이포그래피 포스터
🎨 디자인 미리보기
할일 관리자
샘플 태스크 1
샘플 태스크 2
샘플 태스크 3
📰
Vintage • Classic • Typography

🌌 우주 코스믹 테마

신비로운 우주와 은하수의 판타지 디자인

🤖 Replit Agent 프롬프트
현재 앱을 우주 코스믹 테마로 변경해주세요:

🌌 디자인 요구사항:
- 배경: 깊은 우주 색상 (#0f0920)에 별빛 효과
- 카드: 성운 같은 그라데이션 배경
- 텍스트: 밝은 흰색과 우주색 (#e0e7ff)
- 강조: 네온 퍼플과 시안 (#8b5cf6, #06b6d4)
- 애니메이션: 반짝이는 별들과 유성 효과

⭐ 우주 색상 팔레트:
- 배경: radial-gradient(circle at 20% 80%, #120a2a 0%, #000000 100%)
- 카드 그라데이션:
  • Todo: 성운 블루 (linear-gradient(45deg, #1e1b4b, #3730a3))
  • In Progress: 성운 퍼플 (linear-gradient(45deg, #581c87, #a21caf))  
  • Completed: 성운 그린 (linear-gradient(45deg, #064e3b, #059669))

🚀 우주 효과:
- 배경에 움직이는 별들 (keyframe animation)
- 카드에 별빛 테두리 (glowing border)
- 유성이 가끔 스쳐지나가는 애니메이션
- 할일 완료시 별자리 연결 효과
- 호버시 오로라 색상 변화

✨ 특수 애니메이션:
- 별빛 반짝임: @keyframes twinkle
- 떠다니는 먼지: floating particles
- 그라데이션 회전: rotating aurora
- 펄스 효과: cosmic breathing

🛸 SF 요소:
- 폰트: 미래적 폰트 (Orbitron, Exo 2)
- 아이콘: 우주 테마 (🌟, 🚀, 🛸, ⭐)
- 버튼: 홀로그램 느낌의 투명 버튼
- 로딩: 회전하는 은하 애니메이션

🎯 참고 스타일:
- NASA 우주 사진들
- 사이파이 영화 UI (인터스텔라,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 코스믹 호러 미학
🎨 디자인 미리보기
할일 관리자
샘플 태스크 1
샘플 태스크 2
샘플 태스크 3
Cosmic • Mysterious • Stellar

🌸 카와이 파스텔 테마

귀엽고 포근한 파스텔 색상의 일본풍 키치 디자인

🤖 Replit Agent 프롬프트
현재 앱을 카와이 파스텔 테마로 변경해주세요:

🌸 디자인 요구사항:
- 배경: 부드러운 파스텔 그라데이션 (#fdf2f8 → #f0f9ff)
- 카드: 솜사탕 같은 파스텔 색상
- 폰트: 둥글둥글한 폰트 (Comic Sans MS, Nunito)
- 모서리: 매우 둥근 모서리 (border-radius: 25px)
- 색상: 파스텔 핑크, 라벤더, 민트, 피치

🎀 파스텔 색상 팔레트:
- 배경: linear-gradient(45deg, #fdf2f8, #f0f9ff, #f0fff4)
- 할일 카드:
  • Todo: 파스텔 핑크 (#fce7f3) 
  • In Progress: 파스텔 퍼플 (#f3e8ff)
  • Completed: 파스텔 그린 (#ecfdf5)
- 버튼: 파스텔 레인보우 그라데이션

🥰 카와이 요소:
- 모든 요소에 귀여운 이모지 추가 (🌸, 💖, ✨, 🎀)
- 할일 완료시 하트나 별이 떨어지는 애니메이션
- 버튼에 토글링하는 귀여운 얼굴 (•̀ᴗ•́)و ̑̑
- 파스텔 색상의 부드러운 그림자

✨ 애니메이션 효과:
- 호버시 살짝 커지는 효과 (scale: 1.05)
- 클릭시 살짝 bounce하는 애니메이션
- 배경에 떠다니는 하트나 별 파티클
- 할일 추가시 반짝이는 마법 효과

🎨 일본 미학:
- 여백을 많이 사용한 깔끔한 레이아웃
- 부드럽고 곡선적인 디자인
- 파스텔 색상의 조화로운 조합
- 귀여운 일러스트 요소들

🌈 특별 기능:
- 할일 완료율에 따른 캐릭터 기분 변화
- 연속 완료시 "대단해요! ✨" 메시지
- 파스텔 색상이 시간에 따라 천천히 변하는 효과

🎯 참고 스타일:
- 일본 카와이 문화
- 파스텔 일러스트 스타일
- 산리오 캐릭터 디자인
🎨 디자인 미리보기
할일 관리자
샘플 태스크 1
샘플 태스크 2
샘플 태스크 3
💖
Kawaii • Pastel • Cute

🚀 더 나아가기

🎨 나만의 테마 만들기

위 테마들을 참고해서 나만의 색상과 스타일로 커스터마이즈해보세요!

• 좋아하는 브랜드의 색상 팔레트 사용
• 취미나 관심사를 반영한 테마 (음악, 스포츠, 여행 등)
• 계절감이 있는 디자인 (봄, 여름, 가을, 겨울)
⚡ 고급 커스터마이징

CSS 애니메이션이나 인터랙션을 추가해서 더욱 생동감 있게!

• 할일 완료시 특별한 애니메이션 효과
• 마우스 호버시 재미있는 인터랙션
• 다크모드/라이트모드 토글 기능
Stage 2 - 오후 세션 (13:00 - 17:30)

팀 협업 기능 확장하기

개인 태스크 매니저를 팀 협업 도구로 발전시켜 봅시다

🎯 학습 목표

  • 기존 개인용 앱을 팀용으로 확장하는 방법
  • 초대 링크 시스템과 권한 관리
  • 데이터 구조 설계와 마이그레이션
  • 관리자 패널과 팀 관리 기능

🚀 새로운 기능

  • 팀 초대 링크 생성/관리
  • 태스크 할당 및 재할당
  • 팀원별 작업 현황 보기
  • 관리자 권한 시스템

🔄 개인 → 팀 진화 과정

👤

Stage 1

개인 태스크 매니저

🔄

확장

데이터 구조 업그레이드

👥

Stage 2

팀 협업 도구

🤖 Replit Agent 프롬프트

Stage 1의 태스크 관리자를 확장해서 고급 팀 분석 기능이 있는 팀 협업을 지원하도록 만들어주세요:

추가할 팀 기능:
1. 팀 관리:
   - 첫 번째 사용자가 자동으로 관리자가 됨
   - 관리자가 초대 링크 생성 가능
   - 초대 링크로 팀 구성

2. 팀 대시보드 (새로운 분석 기능):
   - 팀 생산성 개요 (팀 전체가 완료한 총 태스크)
   - 멤버별 기여도 차트 (각 멤버가 완료한 태스크를 보여주는 누적 막대 차트)
   - 팀 속도 추이 (시간에 따른 팀의 완료율 라인 차트)
   - 워크로드 분포 (누가 얼마나 많은 활성 태스크를 가지고 있는지)
   - 이번 주 최고 성과자
   - 팀 연속 작업일 (최소 하나의 태스크가 완료된 일수)
   - 병목 현상 ("진행 중"에 너무 오래 머물러 있는 태스크)
   - 멤버별 비교 (멤버당 완료한 태스크)
   - 요일별 팀 패턴

3. 팀 맥락에서 향상된 개인 대시보드:
   - 나의 기여도 vs 팀 평균
   - 나의 가장 생산적인 날 vs 팀 패턴
   - 팀 내 개인 순위
   - 협업 통계 (다른 사람이 할당한/내가 할당한 태스크)

4. 새로운 데이터 구조:
// 팀 데이터
key: "team:{teamId}"
value: {
  id: "team_uuid",
  name: "우리 팀",
  createdAt: "2025-01-20T10:00:00Z"
}

// 팀 일별 통계
key: "team_daily_stats:{teamId}:{date}"
value: {
  totalTasksCompleted: 15,
  memberStats: {
    "user_id_1": { completed: 5, created: 3 },
    "user_id_2": { completed: 7, created: 4 },
    "user_id_3": { completed: 3, created: 2 }
  },
  activeMembers: 3
}

// 팀 멤버
key: "team_members:{teamId}"
value: ["user_id_1", "user_id_2", "user_id_3"]

// 초대 데이터
key: "invite:{inviteCode}"
value: {
  code: "ABC12345",
  teamId: "team_uuid",
  createdBy: "user_id",
  status: "active",
  expiresAt: "2025-01-27T10:00:00Z"
}

5. 새로운 뷰:
   - 팀 대시보드 (팀 전체 분석)
   - 멤버 프로필 (팀 맥락에서의 개인 통계)
   - 리더보드 (게임화 요소)
   - 팀 설정 (관리자만)

6. 스마트 인사이트 (AI 스타일 관찰):
   - "우리 팀은 수요일에 가장 생산적입니다"
   - "김철수님은 팀 평균보다 40% 더 많은 태스크를 완료합니다"
   - "이영희님에게 할당된 태스크는 2배 빠르게 완료됩니다"
   - "이번 주 팀의 속도가 15% 증가했습니다"

구현 참고사항:
- 대시보드 성능을 위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집계
- 가능한 곳에서 계산된 통계 캐시
- 태스크가 변경될 때 개인 및 팀 통계 모두 업데이트
- 대시보드를 앱의 주요 기능으로 만들기
- 데이터 시각화에 일관된 색상 체계 사용

📋 구현 단계

1

데이터 구조 확장

팀, 초대, 팀원 관리를 위한 새로운 데이터 모델 추가

2

팀 생성 및 가입

첫 사용자는 자동으로 팀 생성, 초대 링크로 팀 가입 기능

3

초대 시스템

초대 링크 생성, 유효성 검사, 만료 처리

4

팀 뷰 구현

팀원들의 작업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대시보드

5

태스크 할당

태스크 생성/수정 시 팀원에게 할당 가능한 UI

6

관리자 패널

팀 관리, 멤버 관리, 권한 설정 기능

🔐 권한 관리 시스템

Admin

관리자

팀 관리, 멤버 초대/제거, 권한 부여

Member

일반 멤버

태스크 생성/수정, 팀 뷰 접근

🎉 예상 결과물

  • 완전한 팀 협업 태스크 관리 도구
  • 실무에서 바로 사용 가능한 수준
  •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 경험
  • 권한 관리와 초대 시스템 구현